-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실제 통신은 IP 기반으로 일어나고, MAC 주소는 상대방의 주소를 자동으로 알아내 통신합니다.
이때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ARP입니다.
처음 통신이 일어날 때 IP 주소를 알고있지만 MAC 주소를 알 수 없어 2계층 캡슐화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ARP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해 MAC 주소를 질의합니다.
통신이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송신 측과 수신 측은 ARP 테이블에 IP와 MAC을 1대1 대응시켜 저장합니다.
1. PC 0(192.168.1.1)은 PC 2(192.168.1.3)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려고 합니다. 일단 Routing table을 보니 자신과 PC 2가 같은 LAN에 속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제 PC 2의 MAC 주소를 알기 위해 ARP Request(Who has 192.168.1.3? Tell 192.168.1.1) 를 뿌립니다.
2. PC 0는 Broadcast(FF:FF:FF:FF:FF:FF)인 ARP Request를 날리고 PC 1, PC 2, PC 3에 전달됩니다. 그리고 ARP Request의 목표인 PC 2가 이에 반응하여 ARP Response(PC 2의 MAC 주소)를 보냅니다.
3. PC 0(192.168.1.1)은 PC 2가 보낸 ARP Reponse를 받고 ARP Table에 PC2의 IP와 MAC 주소를 적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보내려 목적지 IP를 192.168.1.3으로 지정하면 자연스레 ARP Table을 보고 PC 2의 MAC 주소를 목표로 전달합니다.출처) https://aws-hyoh.tistory.com/entry/ARP-%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참고
https://aws-hyoh.tistory.com/entry/ARP-%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라우터 (1) 2022.09.14 12. 스위치 (0) 2022.09.12 10. TCP/UDP (0) 2022.09.09 09. MAC, IP (0) 2022.09.09 08. 네트워크 통신 (0) 2022.09.09